본문 바로가기
소방기술사 준비/시험점수 기록

[135회 소방기술사] 필기 합격자 발표, 점수 분석

by 용용킴 2025. 3. 13.
반응형
135회 소방기술사 필기 합격자 발표 및 점수 기준

 

아직 갈길이 멀다

 

60% 이상 득점 1문제..

 

<지금까지의 기록>

132회 133회 134회 135회
34.33 37.58 35.41 39.25

 

반응형

1교시 복기

 

문 1. 소방공사 내역서 중 소방공사 표준품셈에 명시되지 않은 공구손료, 잡재료 및 소모재료, 경장비 등의 손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9점 / 점수 : 10점)

<나의 답>

  • 표준품셈은 노임계산시 사용하는 법적 기준
  • 명시되지 않은 공구손료 , 잡재료 및 소모재료, 경장비 있음
  • 공구손료 : 공사에 쓰이는 공구비 / 잡재료및 소모재료 : 공사에 소모되는 실리콘 등 자재/ 경장비 : 중장비가 아닌 비용처리 하지 않는 장비류
  • 법적 기준 마련 ( 공구손료 - 영수증 첨부 실비 / 잡재료 소모재료 - 원가계산서 산정시 기입 / 경장비 - 품목별 기준 마련)

문 2.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급기량, 누설량 및 보충량에 대하여 설명하고 누설량과 보충량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12점 / 점수 : 13점)
 
<나의 답>

  • 부속실 제연설비 개요
  • 급기량 = 누설량 + 보충량 / 누설량 = 누설면적 x 풍속 / 보충량 = 방연풍속 - 거실유입풍속
  • 누설량, 보충량은 표로 비교

문 3. 「국가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5)」에서 제시하는 압축공기포소화설비의 성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11점 / 점수 : 9점)
 
<나의 답>

  • 포소화설비 개요
  • 압축공기포 소화설비 개념도(수원 - 혼합장치 - 압축장치 - 방사)
  • 적용대상 (유류 소화설비)
  • 유지관리 철저 필요

문 5.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의 특정소방대상물에서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방송통신시설의 종류    2) 발전시설의 종류
(예상 : 10점 / 점수 : 12점 )


<나의 답>

  • 소방대상물의 정의
  • 방송통신시설 종류, 예시, 특징 - 화재시 파급력 크므로 조기소화 필요
  • 특징 : 기기 파손우려 때문에 가스계 사용
  • 발전시설 종류, 예시, 특징 - 국가기반시설이라 철저 관리
  • 특징 : 터빈 손상 방지 위한 수계 비적용, 이외 설비는 수계

문 6. NFPA 13에 규정된 Residential Sprinkler 의 개발 목적과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18점 / 점수 : 10점 )


<나의 답> 

  •  스프링클러 K-factor 따라 목적 구분(화재 진압, 화재 제어)
  • 주거형 스프링클러 목적 : 인명피해 방지, 인접 화재확산 방지(화제 제어 위주)
  • 특성 : 작은 물방울, 큰 방사면적(벽면 적심)

문 7. NFPA 101(Life Safety Code)에서 설계 시 기본적인 요구사항(Fundamental Requirement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8점 / 점수 : 12점 )


<나의 답>

 
  • ASET 개요
  • 요구사항 : 호열가독 기준 및 적용 대책

문 8.  스프링클러설비에서의 차폐판(Water Shield)과 차폐장치(Baffle)에 대하여 개념, 설치기준 및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예상 : 12점 / 점수 : 9점 )


<나의 답>

  • cold soldering 현상 설명
  • 방지위해 차폐판, 차폐장치 필요 비교설명
  • 차폐판은 고정식, 차폐장치는 전동기 연동해 화재시 작동
  • 기준은 뇌피셜/ 차이점은 고정식, 연동식

문 9. 원심펌프와 관련한 다음 용어의 개념을 설명하시오.

1) 비속도(Specific Speed) 

2) 유효흡입수두 (Available Net Positive Suction Head)

3) 특성곡선 (Characteristic Curve)
(예상 : 17점/ 점수 : 13점 )


<나의 답>

  • 비속도별 펌프 특성 ( 원심 -> 사류 -> 축류)
  • 유효흡입수두 설명 : 총 수두 - (마찰 + 배관 + 증기압)
  • 특성곡선 도시화 -> 저항곡선과 만나는지점 운전점
  • 우리나라 특성상 고층건물 많으므로 비속도 작은 원심펌프 채택

문 12. 「국가화재안전기술기준(NFTC 203)」 의 자동화재탐지설비 중계기 설치기준과  「발신기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의 발신기 주위온도시험 및 반복시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8점 / 점수 : 4점 )


<나의 답>

  • 자동화재탐지설비 개요
  • 중계기 기준 : 내화배선 / 비상전원 연동 등등
  • 발신기 - 주위온도시험 : 주위 온도 높아도 작동 되는지(내화배선)/ 반복시험 : 여러번 눌러도 신호 전달 되는지

문 13.  「비상문자동개폐장치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의 비상문자동개폐장치의 작동시험 방법, 정전 후 개폐부 개방시험 방법 및 부속장치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7점 / 점수 : 3점 )

 

<나의 답>

  • 비상문자동개폐장치 개요 : 문 - 잠금장치 - 수신반 - 수동조작함
  • 작동시험 방법 : 감지기 작동시 자동 개방 여부/ 10초이상 밀 경우 open 시험
  • 정전 후 개폐 개방 : 정전 시 자동으로 open
  • 부속장치 기준 : 잠금장치 - 전자석으로 신호 없을시 close / 신호 받을시 open
  • 수동조작함 - 수동 기동시 open
 
2교시 복기

 

문 1. 스프링클러헤드의 K-factor 에 대한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K-factor의 소화효과
(2) 「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주거형,라지드롭형,화재조기진압용) K-factor 값
(3) 표준형 스프링클러헤드의 K-Factor 값 80을 유도

(4) 방사압력이 높을 경우의 장단점

(예상 : 40점 / 점수 : 32점 )

 

< 나의 답>

- 스프링클러 3요소 : 오리피스(k-factor), 헤드(C), 반사판(방사형태)
- k-factor 영향 : ( Q =K(P)^1/2) 에서 K 클수록 방사량 증가
- K = 50 주거형 / 80 일반형 / 161 이상 라지드롭 , ESFR
- K-factor 역산
 : C = 0.93 , d = 60 가정 해 78.xx 나와 80
- 방사압 높을경우
 장점 : 방수량이 많아져 냉각성능 우수
 단점 : 수원 조기고갈
         오리피스 구경 커짐
- 용도에 맞게 적절히 k-factor 산정 필요
 

문 3.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1)」에 따른 상업용주방자동소화장치의 설치기준과 「상업용주방자동소화장치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의 감지부에 대하여 다음 내용을 설명하시오

(1) 상업용주방자동소화장치의 설치기준
(2) 온도센서를 감지부로 사용하는 경우 작동시험
(3) 온도센서를 감지부로 사용하는 경우 작동온도시험

(예상 : 32점 / 점수 : 15점 )

 

<나의 답>

- 자동소화장치 개요(목적, 설치 도식화 : 약제, 방사노즐, 감지부, 수신반, 수동조작함)
- 다중이용업소 화재피해 크므로 필요성 설명
- 설치기준 : 수신반 - 화재 피해 없는 위치 설치
감지부 : LNG 천장 30cm 이하/ LPG 바닥 30cm 이하
수동조작함 : 조작 시 바로 방사 되도록
약제 : K 급 화재 소화 적응성 있는 약제
        방사압 적정
- 작동시험 : 1차 감지시 가스밸브 차단 여부
 reset 30초간 안될시 약제 방출 여부
- 작동온도 시험 : 주방에선 차동식은 적응성 없으므로 정온식 설치
- 온도 80도 이상 될 경우 1차 경보 여부
- 지속 되서 reset 안될시 약제 방사 여부
- 다중이용업소 주방에 도입 필수 및 유지관리 철저(약제 방사압)

 

문 4.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7A)」의 불활성기체 소화약제와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소화약제량 산출식
(2)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 설계농도
(3) 소화약제 종류에 따른 최대허용설계농도

(예상 : 23점 / 점수 : 13점 )

 

<나의 답>

-불활성 기체 소화약제 개요 (명명법, 소화효과, 구성 등 - 질알씨)
- 소화약제량 산출식 : 무유출 (급격한 방출 - 할로겐) / 자유유출 (완만한 방출 - 불활성)
- 산출식 2.303log(100/100-C) V/S
- 체적이 클수록 누설면적 늘어나 설계농도 기준보다 커야함(?_
- 체적이 작을수록 누설면적 줄어들어 설계농도 기준 준수
- 약제 종류(할로겐-> 최대허용 설계농도 작음 (억제소화)
할로겐 미포함 -> 설계농도 크다
- 질식 효과도 고려하여 방출지연스위치 필요

 

문 5. 지름이 다른 2개의 관로를 가정하여 두 관로가 등가(Equivalent)임을 증명하는 다음 식을 유도하시오

(예상 : 49점 / 점수 : 65점 )
 
<나의 답>

-관로 등가 필요성(접합시 마찰 최소화 -> 방사압 및 방수량 유지)
- 적용 공식 설명 ( D-W 공식, 연속방정식, 원의 면적)
- 연속방정식 에서 A = pi/4 * d^2 을 대입 후 v 정리 -> 4Q/(pi*d^2)
- D-W 대입 -> 압력차 = f * (8Q^2/g(pi)^2) * l/d^5)
- 두개의 배관 대입 f1,f2 d1,d2
- 두개 배관 압력차가 같아야 등가 하고 정리 하면 공식 나옴
- 등가를 맞게 해야 와류 발생 안하므로 반드시 맞추어서 관 접합
- 관 부속류도 이에 맞추어 손실이 가장 적도록 설계 필요

 

3교시 복기

 

문 1. 다음 그림을 기준으로 이상유체의 전제조건을 쓰고 Euler 운동방정식 및 베르누이 방정식을 유도 후 그 물리적 의미를 설명하시오.

(예상 : 33점 / 점수 : 21점 )

 

<나의 답>

- 이상유체 필요성 ( 실제 분석시 기초 데이터, 실제는 이상 유체에 계수 적용 등)
- 이상유체 전제조건 : 유선 동일, 정상류, 마찰 없음, 비압축성
- 운동방정식 증명 ( 일 = 힘 x 거리 통해 운동E, 위치E 증명, 내부에너지 = PV)
- 에너지 합 일정 으로 그냥 마무리 ( 수두로도 표현)
- 물리적 의미 : 속도수두, 위치수두, 압력수도로 설명
- 실제 계수가 더 중요 하기 떄문에 back data 중요 설명
 

문 2. 기계실에 설치되는 소화펌프와 주변배관에 대한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소화펌프의 유효흡입수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2) 소화펌프 흡입측 손실수두 발생원인

(3) 손실수두가 소화펌프성능에 미치는 영향

(4) 실무에서 소화펌프 흡입측 배관 막힘여부 확인방법

(예상 : 42점 / 점수 : 37점 )

 

<나의 답>

-  소화펌프 특성 설명 (비속도 작음, 수두 높음, 마찰 적어야 함 등)
- 유효흡입수두 영향 요소 - 마찰, 부차적, 증기압
- 손실수두 발생 원인 - 부식, 낮은 조도, 관부속류, 높은 증기압
- 영향 : 손실 발생으로 인한 더 높은 총 수두 -> P = 감마QH/효율 이므로 전력 증가 -> 전동기 크기 증대
NPSHav 감소로 인한 Cavitation
- 막힘여부 확인 : 소리가 커짐, 출력 저하
- 주기적인 유지관리 중요

 

문 3. 동일 저장소에 제 1류 위험물 중 무기과산화물 150kg, 질산염류 150kg, 다이크로뮴산 염류 3,000kg을 저장하려 한다. 저장량을 이용하여 지정수량의 몇 배인지 계산하시오.

(예상 : 33점 / 점수 : 35점 )

 

<나의 답>

- 1류 위험물 개요 및 품명, 지정수량, 위험등급 설명 ( 아염소,염소,과염소,무기 - 50 / 브질요 300 / 과중 - 1000), 위험등급 순서대로 1,2,3
- 취급시 주의사항 : 유가반으로 설명 유독성 - 없음/ 가연성 - 없으나 주변 반응 촉진 / 반응성 - 큼, 무기는 물과 발열
- 문제 대입 무기 3배 / 질산 0.5배 / 다이크롬 3배
- 최대치만 적용하므로 3배(?)
- 3배인 경우 각 시설별 안전거리 설명
- 취급시 주의사항 대입 ( 물과 접촉 차단)
 

문 5. NFPA 13에서 제시하는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설비요건과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설비의 형식(Types)

 (2) 설비형식에 따른 설비의 크기(Size)

 (3) 설치 가능한 스프링클러헤드의 종류

(예상 : 21점 / 점수 : 36점 )

 

<나의 답>

-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개요(도식화 및 특징)
- 2차측 대기압 및 동파방지 인한 하향식 헤드
- 크기는 유지보수 위해 별도 유수검지장치실 확보
- 헤드는 설계용도별 면적 통한 살수밀도 구하고 이에따라 헤드 방호면적 산출하는 것
- 설치가능 헤드는 동파 방지에 적절한 것 : 드라이펜던트 헤드, 하향식 폐쇄형 헤드
- 유지관리 어려움으로 인한 부식이 문제
- 배관 기울기 주기, 내부 질소 충진 대책 마련

 

4교시 복기

 

문 3.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온재의 구비조건을 설명하고, 건설기준코드 표준시방서 (KCS 31 20 05)에 규정된 유기질 보온재가 확보해야 할 화재안전성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35점 / 점수 : 31점 )


<나의 답>

-물의 특성 설명 (수소결합 통한 육각구조로 부피 증가 -> 동파)
-열의 전도 설명 (공식 통해 보온재 두꺼워야하는 이유 설명)
- 보온재 구비조건 : k,L,C 공식 통해 설명 및 연소시 독성물질 방출하지 않는 것
- 유기질 보온재 : 열경화성, 열가소성 설명
- 유기질 보온재 : 불씨연소 하지 않는 보온재로 재료 확보 필요
- 단열성이 뛰어나나 연소시 유독성을 뿜지 않는 재료로 선정 필요

 
문 4.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의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의 "연소 우려가 있는 건축물의 구조",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3)」의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38점 / 점수 : 37점 )

 

<나의 답>

- 건축법, 소방법의 목적 및 방호대상 설명(건축 - 건물 , 소방 - 인명 및 재산)
- 연소우려 부분,구조,개구부 표로 비교 설명
- 부분은 옥외소화전 연면적 산정, 구조는 외부마감재 선정, 개구부는 화재확산 방지 위함
- 부분과 구조는 동일한 내용을 다르게 써 혼동 우려되므로 일원화 필요 (ㅇ구조로 일원화)
- 드렌처는 적시는 용도 이므로 스프링클러로 용어 변경 필요
 

 

문 5.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의 특정소방대상물에서 공동주택 중 연립주택 및 다세대주택의 소방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21점 / 점수 : 29점 )


<나의 답>

- 공동주택 구성(아파트,연립주택,다세대주택)
- 아파트는 소방시설 잘 되있으나 연립,다세대는 연면적 기준 미달로 소방시설 미흡
- RSET 과 ASET 설명 (RSET 은 Passive 와 Active 구분 / ASET 은 호열가독)
- ASET은 변경 불가하니 RSET 감소 필요
- 현황으로는 ABC 소화기 정도만 구비
- 간이sp, 소형 가스계설비 필요 및 완강기
- 비상발전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예비전원 포함한 광원식 점등형 피난구유도 설치

 

문 6. 가스계소화시스템의 건전성(Integrity) 확보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소화약제 저장실의 건전성을 위한 확인사항

(2) 방호구역의 소화시스템 건전성을 위한 확인사항

(3) 방호구역의 밀폐도 건전성을 위한 확인사항

(예상 : 25점 / 점수 : 25점 )

 

<나의 답>

- 가스계 소화설비 개요(수계의 미비점 통해 가스계 도입)
- 문제점 : transit time 인한 배관기화, soaking time, 및 과압
- 저장실 건전성 : 저장실 기준 6가지 작성(방화벽,햇빛차단,피난로 가까이, 내화구조구획, 3cm 이격, 집합관 체크밸브)
transit time 감소 위한 소화실과 일원화 필요
- 방호구역 : 균일 방사 되도록 헤드 배치, soaking time 유지 필요
질식 방지 위한 방출지연 스위치 설치
- 밀폐도 건전성 : soaking time 유지 위한 내부누설 방지
과압 형성 방지 위한 과압 배출구 설치
- 약제실과 소화실 일원화 필요 및 과압배출구 통한 과압 방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