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6회 소방기술사 필기 합격자 발표 및 점수 기준
<지금까지의 기록>
132회 | 133회 | 134회 | 135회 | 135회 |
34.33 | 37.58 | 35.41 | 39.25 | 42.25 |
빨간글씨 - 틀린거 같은거
초록글씨 - 소설작성
1교시 복기
문 1. NFPA 72에서 화재 시 화열에 의한 경로 잔존능력(Pathway Survivability)의 Level 0 ~ Level 4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9점 / 점수 : 11점)
<나의 답>
- Level 0 일반, Level 1 Passive, Level 2 Active, Level 3 Passive+Active 혼합, Level 4 Passive +Active 1시간 (이렇게만 써서 점수 받긴 힘들듯.. 심지어 1과 2도 반대)
- 국내는 용도별로만 분류(내화, 내열)
문 3.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물(H2O)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물리적 성질
2) P-T(압력-온도) 상태도
(예상 : 11점 / 점수 : 15점 )
<나의 답>
-
물 성질 : 비열 크다, 융해잠열 80, 기화잠열 539, 체적팽창 600배, 표면장력 크다
- PT선도 - 3중점 기억안나서 아무렇게나 씀
문 5. 전기적 폭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을 설명하시오
(예상 : 15점 / 점수 : 12점 )
<나의 답>
-
V=L*di/dt 에서 전류 변화량이 커서 에너지 발생
- MIE 이상 발생시 폭발
- 발생현상 - 누전화재, 가스폭발, 분진폭발
문 6. 소방시설공사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착공신고 대상 2) 착공신고 제외대상 3) 착공신고 시 제출 서류
(예상 : 10점 / 점수 : 9점 )
<나의 답>
-
착공신고대상 - 연면적 100이상, 소방시설(sp,자탐) 설치시
- 제외대상 - 증축 등 이미 설치된 경우
- 제출서류 - 착공계, 현장대리인계, 근무자 자격서류, 공사계획서 등
문 7. 거실 제연설비의 성능 확인 기준을 쓰고 적용상 현실적 문제점을 설명하시오
(예상 : 9점 / 점수 : 9점 )
<나의 답>
-
거실제연 급기, 배기, 배기풍도 기준 작성
- 현실적 문제점 - 측정의 어려움
문 8. 스프링클러설비 헤드 선단의 방수압력을 0.1MPa 이상 1.2MPa 이하로 규정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예상 : 16점 / 점수 : 17점 )
<나의 답>
-
sp 물리적 특성 - 오리피스, 디플렉터, 감열부
- 방수압 약하면 방수 불가, 강하면 살수패턴 타원 됨
- 두 경우 다 설계면적 살수 불가
문 9. Pipe Shadow Effect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9점 / 점수 : 15점 )
<나의 답>
- 밑 장애물에 가려 살수장애 현상
- 균일한 살수밀도 위해 인테리어 시에도 감리 필요(배관이 아니라 실내장식물 관련인줄..)
문 10. 스프링클러설비의 신축배관 길이 제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예상 : 14점 / 점수 : 10점 )
<나의 답>
-
신축배관 - 내진성능 좋음, 온도에 의한 신축 보강
- 제한이유 - 배관 강도, 마찰손실 증가(H-W식)
문 12. 건축물 내무 마감재료 중 불연재료와 난연재료에 대한 성능 기준을 설명하시오
(예상 : 6점 / 점수 : 11점 )
<나의 답>
-
불연 - 변화율, 쥐행동 정지시간
- 난연 - 쥐행동 정지시간, 열방출율 시험
- 쥐 9분, 변화율 질량 30%(8시간), 열방출율 20kW (진짜 기억 하나도 안남..)
문 13. 위험성 평가 기법 중 위험도 매트릭스(Risk Matrix)와 정량적 평가 기법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예상 : 12점 / 점수 : 13점 )
<나의 답>
- 위험도 매트릭스 빈도(1~5), 강도(1~4) 매겨 두개를 곱해 위험도 산정
- 빈도, 강도 매실때 정성적 기준이 들어가서 정량적 기법과 차이 있음
2교시 복기
문 3. 피난안전성평가 시 ASET(Available Safe Egress Time) 과 RSET(Required Safe Egress Time)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건물의 피난계획 수립 시 개선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32점 / 점수 : 39점 )
< 나의 답>
- 성능위주설계 대상
- ASET(호열가독), RSET 개념(감통반전 피난 여유), 관련 그래프
- 개선방안 - ASET, RSET 비교해서 ASET 작으면 설계변경, 소방시설 추가
- RSET 작으면 녹음 방송 통한 음성안내
문 4. 화재 발생 시 건축물에서 화염확산 경로와 방화벽 및 차연 시스템의 역할을 쓰고 설계기준을 설명하시오.
(예상 : 21점 / 점수 : 35점 )
<나의 답>
- 화염 - 상부, 측면, 하부 확산
- 연기 - 굴뚝효과, 바람효과, 밀도 변화
- 방화벽- 3가지 구분(건축법, 연소방지, 위험물안전관리)
- 차연시스템 - 거실급기, 제연경계벽
문 5.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의 종류, 소화원리와 소화단계(과정) 및 소화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25점 / 점수 : 26점 )
<나의 답>
- KHCO3 의 분해반응 -> K 이온 의한 억제소화
- 종류 - 래크식, 국소방출형
- 소화단계 : 감지 -> 수신 -> 기동용기 방출 -> 약제 방출
문 6. 무선통신보조설비에 적용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의 전기적인 특성, 절연체 및 외피에 대한 시험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18점 / 점수 : 24점 )
<나의 답>
- LCX 손실 구분 - 전송손실, 결합손실 (반대로 쓴듯)
- 전기적 특성 - 전기저항 낮음, 길이 짧고 면적 큼 ( 저항 식)
- 절연체, 외피 - 내화구조, 전기저항 낮을 것, 인장강도 큼
3교시 복기
문 1. 수계소화설비에서 전자식 기동용 압력스위치의 구조 및 특징을 설명하고, 압력챔버 방식과 전자식 기동용 압력스위치 방식을 유지관리 측면에서 비교 설명하시오.
(예상 : 40점 / 점수 : 22점 )
<나의 답>
- 전자식 기동 - NFPA 기동순서(주충충주예 10, 5, 10 )
- 전자식- 헌팅없음, 유지보수 용이 등
- 압력챔버 - 헌팅, 드레인 배수, 고장 잦음, 면적 차지, 유지관리 어려움
문 2. 건설 현장 전기용접작업의 화재 예방을 위하여 작업 전, 작업 중, 작업 후 안전조치 사항 및 임시 소방시설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34점 / 점수 : 23점 )
<나의 답>
- 작업 전 - 소화기 비치, 화재감시자 배치, 11m 이내 가연물 등
- 작업 중 - 용접기 전원 확인, 불티 비산 확인
- 작업 후 - 내부 열 방열 확인(자연 발화)
- 임시소방시설 - 간이 sp, 수막설비, 공기호흡기 등
문 3.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정전기의 위험성, 방전현상, 발생 영향 요인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36점 / 점수 : 29점 )
<나의 답>
- 정전기 - 축적전하 쌓여 공기절연 넘는 에너지 발생(E=1/2 CV^2)
- 발생요인 - 물체형상, 습도, 유체속도, 비저항 등
- 방지대책 - 둥그렇게, 습도 70퍼 이상, 유속 느리게, 비저항 작게
문 4. 소화용수설비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설치 대상
(2) 설치 시 유의사항
(3)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의 저수량 산정기준, 채수구 설치 기준
(4) 소화용수설비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
(예상 : 21점 / 점수 : 19점 )
<나의 답>
- 저수조, 소화용수, 상수도 소화용수
- 저수조 - 상수도관 180m 이내 부재
- 상수도 소화용수 - 상수도관 180m 이내 있음
- 유의사항 - 저수조,소화용수: 물 주기적 관리
- 저수량 - 높이 4.6m , 800lpm * 20min = 16000L
- 채수구 직경 50cm 이하
- 설치 예외 - 이미 옥내,외 소화전 구비
4교시 복기
문 1. 분말소화약제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분말소화약제의 구비조건
2) 소화약제 종류별 주성분, 적응화재, 소화작용
3) 침강시험
4) 비누화 현상
(예상 : 39점 / 점수 : 50점 )
<나의 답>
- 구비조건 - 미세도, 내식성, 유동성, 비고화성, 겉보기비중, 무독성, 침강시험
- 1,2,3,4종 주성분, 주소화, 적응화재, 색상 표
- 침강시험 - Knock down 효과 같이 작성 (30초 이상 부유?)
- 비누화 작용 - 나트륨, 지방산 만나 금속비누, 포 형성. K급 화재 적응성 (반응식은 틀린듯)
문 2. 거실 제연설비의 성능평가에서 Hot Smoke Test를 시행하는 목적, 방법 및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21점 / 점수 : 20점 )
<나의 답>
- 거실제연설비 종류 - 동일실 급배기, 거실급배기, 거실급기통로배기, 통로급배기
- 성능평가 - 실제시험(Hot Smoke Test), 컴퓨터 시뮬레이션
- 목적 - 거실제연 성능확인(청결층 확보)
- 방법 - 실제 시료 연기 피워 연기 유동 확인(무독성, 유색)
- 절차 - 대충 연기 피워 감지기 울려 제연설비 가동
문 3. 소방시설의 설계에 대한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설계도면 작성 원칙
2) 실시설계의 세부 사항
(예상 : 15점 / 점수 : 48점 )
<나의 답>
- 기본설계 이후 착공, 이후 실시설계
- 작성원칙 - 발주자 기본자료 제공(연면적, 층수, 용도, 특수목적실 등) -> 토대로 소방설계
- 법 준수, 전기 기계 파트 나눠 작성, 시방서 작성
- 세부사항 - 전기 : 자탐, 감지기 위치 / 기계 : SP 배관, 가스배관, 펌프 설계 등
- 내장재, 배연 등 건축에서 가져와야 한다
문 4. 수계소화설비 습식배관의 동파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동파방지 방안과 동파방지 방안 선택 시 우선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상 : 45점 / 점수 : 50점 )
<나의 답>
- 물의 물리적 성질(원자 공유, 분자 수소결합)
- 고체 될때 6각 구조 이루어서 부피 증가
- 동파 메커니즘 - 2차측 수분 충수 -> 0도 이하 날씨 -> 응고되며 부피 팽창 -> 배관 파손(연결부위, 플랜지)
- 방지대책 - 열선, 두꺼운 보온재, 부동액
- 우선 고려사항 - 열선 : 과전류 방지, 열 관리 PID 제어
- 부동액 - 내식성, 가연성 아닌것, 첨가용 아닌 전체 세트로 된 것
- 보온재 - 열 전도율 낮은것, 두꺼운 재료 ( 열 전도 공식)
'소방기술사 준비 > 시험점수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5회 소방기술사] 필기 합격자 발표, 점수 분석 (2) | 2025.03.13 |
---|---|
[134회 소방기술사] 필기 합격자 발표, 점수 분석 (2) | 2024.10.03 |
[133회 소방기술사] 필기 합격자 발표, 점수 분석 (2) | 2024.06.22 |
[132회 소방기술사] 필기 합격자 발표, 점수 분석 (1)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