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기계발83

[121회 소방기술사] 2교시 답안작성 연습(Value Engineering 실시대상, 실시시기 및 회수, 수행자격, 검토조직 구성, 설계자가 제시 해야할 자료) 건축물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VE: Value Engineering)에 대하여 다음 내용을 설명하시오 (1) 실시대상 (2) 실시 시기 및 회수 (3) 수행 자격 (4) 검토조직의 구성 (5) 설계자가 제시하여야 할 자료 1. VE 의 정의 및 방법 1. 구하려는 기능을 최소의 자원 비용으로 얻기 위하여 제품의 가치와 관련된 여러 요인과 제품 비용에 관련되는 여러 요인의 관계를 검토, 분석하여 제품의 가치를 높이는 일련의 방법 2. VE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 ㄱ. 구조를 더 간단하게 하거나 아예 없애버리는 방법, 부분품의 공통사용 여부 ㄴ. 가공방법의 진보, 더 싼 재료와 더 간편한 가공방법, 양산방식 ㄷ. 작업공정이 능률적인지 여부 확인 ㄹ. 합리적 재료비, 노무비, 경비와 타당한 이윤으.. 2024. 4. 21.
[121회 소방기술사] 2교시 답안작성 연습(NFPA 92 차압 선정의 이론적 배경) 특정 소방대상물에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NFSC 501A에 의한 부속실 제연 설비의 최소 차압은 40Pa 이상으로 정하고 있으나, NFPA 92의 경우는 천장 높이에 따라 최소(설계) 차압의 기준이 다르게 적용된다. 천장 높이가 4.6m 일 때를 기준으로 하여 NFPA 92에 따른 차압 선정의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시오. 1. 부속실 제연설비 1. 개념 - 급기 가압을 통해 계단실이나 비상용 승강기 수직관통부에 연기 유입을 차단하는 설비 2. 차압의 기준 ㄱ. 차압 = 부속실 - 평상시 거실(화재 x) ㄴ. 차압이 너무 낮으면 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고 차압이 너무 높으면 출입문 개방이 불가능해진다. ㄷ. 최소차압 : 40Pa (스프링클러 설치시 12.5 Pa) ㄹ. 최대차압 : 출입문 개방.. 2024. 4. 19.
[121회 소방기술사] 2교시 답안작성 연습(위험물제조소의 안전거리) 위험물 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하는 위험물 제조소의 안전거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안전거리의 개념과 특징 1. 개념 : 위험물 시설에서 인접 방호대상물 사이 소방·환경 안전을 위해 확보해야할 수평거리 2. 특징 ㄱ. 안전거리 내에는 물건을 적재해도 무방 ㄴ. 방화상 유효한 벽을 설치해서 안전거리 단축 가능 3. 보유공지와 차이점 안전거리 보유공지 목적 방호대상물에 인적·물적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함 자체 연소방지 및 소화활동상 공간 특징 안전거리 내 물건 적재해도 무방 보유공지 내 어떠한 물품도 적재 불가 2. 안전거리의 기준 구분 안전거리 특고압 전선 7 ~ 35 kV 3m 이상 35 kV 이상 5m 이상 주거용 시설 10m 이상 고압가스, LPG, LNG 저장·취급 시설 20m 이상 학교,병원,공연장 .. 2024. 4. 17.
[121회 소방기술사] 2교시 답안작성 연습(마감재료 난연성능에 따라 구분, 성능기준, 시험방법) 건축법령상 건축물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재료(내장재)를 난연성능에 따라 구분하고 마감재료의 성능기준과 시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내부 마감재료 개요 1. 건축물 내부 천장,반자,벽체(간막이벽 포함),기둥 등에 부착되는 마감재료(단, 실내장식물은 제외한다.) 2. 실내 마감재료는 화재시 건축물 중 가장 먼저 불에 닿기 때문에 난연성능을 가져야 하며 성능기준을 통과한 재료만 사용되어야 한다. 3. 난연성능에 따라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난연재료로 구분한다. 2. 마감재료의 요구기능 1. 내유독가스 발생 2. 내발연성 3. 내발화성 4.내발열성 5. 방화상 유해한 용융,변형,균열 등이 없을 것 3. 난연 성능에 따른 구분 1. 불연재료 : 불에 타지 않는 성질을 가진 재료 2. 준불연재료 : 불연.. 2024. 4. 15.
[121회 소방기술사] 1교시 답안작성 연습(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 물분무헤드 설치제외)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는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의 설치제외와 물분무헤드의 설치 제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와 물분무 헤드 1.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ESFR : Early Suppresion Fast Response) ㄱ. 레크식 창고 등 초기진화 실패할 경우 화재진압 거의 불가능한 장소에 적용 ㄴ. 고압(0.35MPa 이상)으로 12개 이내 헤드에서 방사된 물이 조기진화를 시킨다.(RTI 값이 작다) ㄷ. ESFR 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 기준 (1) 설치 높이 : 층고 13.7m 이하 (2) 수원의 기준 : K-factor 200 이상, 방수시간 60분 이상 (3) 스프링클러 방식 : 습식 스프링클러 (조기진화가 목적이기 때문) 2. 물분무 헤드 ㄱ. 물분무 소화설비의.. 2024. 4. 13.
[121회 소방기술사] 1교시 답안작성 연습(Hagen-Poiseuille식과 Darcy-Weisbach 식 이용한 층류 마찰계수 유도) Hagen-Poiseuille 식과 Darcy-Weisbach 식을 이용하여 층류흐름의 마찰계수를 유도하시오. 1. Hagen-Poiseuille 식과 Darcy-Weisbach 식 1. Hagen - Poiseuille 식 : 층류 흐름에서 적용 이 식을 수두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2. Darcy - Weisbach 식 : 층류, 난류 모두 적용 가능 2. 층류흐름의 마찰계수 유도 1. Darcy-Weisbach 식은 층류, 난류 모두 적용 가능하나 Hagen-Poiseuille 식은 층류에서만 적용 가능하므로 유체가 층류라고 가정할 시 두 식에 의한 수두손실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2. f 에 대해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 층류에서 레이놀즈수와 마찰계수와의 관계 1. 위 식에서 보듯이.. 2024. 4. 11.
[121회 소방기술사] 1교시 답안작성 연습(위험도 매트릭스) 위험성 평가기법 중 위험도 매트릭스(Risk Matrix)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위험성 평가 1. 위험성 평가 절차는 아래의 [그림-1]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2. 위험성 확인 단계에서는 정성적인 위험분석 기법을 이용하며 종류는 다음과 같다. ㄱ. 사고예상질문 분석법, ㄴ. 체크리스트법, ㄷ. 이상위험도 분석법, ㄹ. 작업자 실수 분석법 ㅁ. 위험과 운전성 분석(HAZOP), ㅂ. 안전성 검토법, ㅅ. 예비위험 분석법, ㅇ. 상대 위험순위 판정법 3. 위험도 분석 단계에서는 정량적인 위험성 분석 기법을 이용하며 종류는 다음과 같다. ㄱ. FTA(결함수 분석법), ㄴ. ETA(사건수 분석법), ㄷ. CCA(사고원인 및 결과 영향분석 4. 위험도 평가 단계에서는 Risk의 주관적인 판단 및 평가를 하며.. 2024. 4. 9.
[132회 소방기술사] 4교시 답안작성 연습(참값,측정값,오차 정의,오차 종류, 우연오차의 법칙) 6. 소방시설의 성능 확인을 위한 계측기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참값, 측정값, 오차의 정의 (2) 오차의 종류 (3) 우연오차의 법칙 1. 소방시설의 성능 확인을 위한 계측 1. 소방시설에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계측기가 존재한다. 2. 방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방수압력 측정기, 자동폐쇄장치의 폐쇄력을 측정하는 폐쇄력 측정기,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계 등이 있다. 3. 정확하게 값을 측정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때문에 오차가 발생하고, 소방시설은 생명과 관련된 설비이므로 오차를 최대한 줄이도록 해야한다. 2. 참값, 측정값, 오차의 정의 1. 참값 : 실제 물리적인 양을 정확하게 나타내는 값 2. 측정값 : 실제로 측정된 값으로 계측기를 통해 얻은 결과 3. 오차 : 측정값과 참값의 차이. 3.. 2024. 4. 7.
[132회 소방기술사] 4교시 답안작성 연습(포소화설비 팽창비 측정방법과 고정포 방출구) 5. 포소화설비에서 팽창비의 측정방법과 고정포 방출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포 소화설비의 특징 및 장단점 1. 포 소화설비의 특징 ㄱ. 유류화재시 물을 가볍게 해서 유류 상부에 띄우고 지속적인 냉각과 질식효과로 소화한다. ㄴ. 진입이 어려운 장소(지하창고, 지하구)에는 전역 방출방식의 고팽창포로 냉각,질식 시킨다. 2. 포 소화설비의 장단점 장점 단점 1. 인화성 ·가연성 액체 화재에 매우 효과적이다. 2. 옥외에서 충분한 소화효과를 발휘한다. 3. 인체에 무해하고, 화재시 독성가스를 생성하지 않는다. 1. 소화 후 약제 잔존물로 2차피해 2. 유동성 한계로 설치상 제약(직경 60m 이상 탱크는 표면하주입) 3. 단백포는 변질 ·부패에 의해 경년기간이 짧다. 2. 고발포와 저발포의 비교 1. 팽창비.. 2024. 4. 5.
반응형